본문 바로가기

종교학(기독교)15

목회 상담학 목회상담학은 목회와 상담이 합쳐진 학문으로써 상담자인 목회자가 성경에 근거하여 피상담자인 교인등의 여러 문제를 듣고 해결해주는 것을 말한다. 성경의 내용을 고려하여 목회자가 교인의 영적, 정서적, 감정적, 행동적, 관계적 문제를 성경적 진리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다양한 상담적 이론과 실제적 기법들을 사용하여 해결하려는 과정이다. 목회는 학문적으로 접근할 때 목회학이라고 볼 수 있는데, 신학에서는 실천신학에 속한다. 목회상담학은 설교, 교리와 함께 교회의 대표적 기능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목회상담학은 일반상담 및 기독교 상담과 구별되는 독특한 영역과 함께 공통적인 영역을 가지고 있다. 목회상담학에서 다루는 상담은 목회자와 교인사이에 이루어지는 치료적인 관계에서 피상담자인 교인의 전반에 걸친 삶을.. 2023. 1. 11.
종교 심리학(기독교 심리학) 1. 종교심리학(Psychology of Religion) 종교심리학은 인류의 역사 속에 축적되어 있는 다양한 종교전통의 발생과정과 그러한 전통과 관계를 맺고 있는 인간 주체들의 종교적 경험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특히 종교심리학은 종교전통이 인간의 삶속에 새롭게 등장하게 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중심인물들과 그러한 전통이 확립된 이후 그 전통에 참여하는 신앙인들의 경험적 차원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므로 종교심리학은 종교전통의 역동과정이나 그러한 역동을 움직여 가고 있는 수많은 신앙인들의 삶의 모습을 심층적으로 생생하게 보여주는 데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오늘날 종교적 경험에 대한 논의가 단순히 기존의 종교전통을 무비판적으로 변호하기 위한 논의나 아니면 그러한 논의 자.. 2023. 1. 6.
목회 심리학(pastoral psychology) 목회심리학(pastoral psychology)은 여러 종교적 경험의 심리적 해석, 연령층별로 나타나는 문제 및 종교생활에 관계되는 문제 등을 심리학적으로 연구한다. 믿음, 갈등, 기도, 예배, 신비주의 등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을 다룬다. 즉 심리학적 여러 학설을 목회에 도입하기 위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목회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심리학과 접목이 필수적이다.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심리학은 목회적이어야 하며, 목회사역은 심리적이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영혼의 치유를 하느님의 뜻에 따라 성취할 수 있고, 사람들을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피조물로 만들 수 있으며, 사람들을 구원의 자리로 인도할 수 있는 것이다. 목회심리학은 심리학을 이용하여 성도의 영혼을 치유하고 그들로 하여금 올바른 신.. 2023. 1. 6.
율법(LOW) 율법이란, 일차적으로는 십계명을 포함하여 하나님께서 시내 산에서 모세에게 주신 법(계명, 법령, 규례, 교훈, 명령), 또는 구약성경, 혹은 좀 더 포괄적으로 신·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백성의 생활과 행위에 관한 하나님의 명령 전체를 가리킨다. 복음서에서는 주로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등 모세가 기록한 오경을 가리켜 묘사하고 있다. ‘던지다’, ‘(물을) 뿌리다’는 뜻의 ‘야라’에서 유래한 말로, 지시, 교훈, 법령, 계명, 법, 관습이라는 의미를 지닌다(민 15:16; 시 19:8). 또 헬라어 ‘노모스’는 ‘분배(할당)하다’, ‘나누다’, ‘분리시키다’는 뜻의 ‘네모’에서 파생된 말로, 하나님의 백성으로 하여금 세상에서 거룩히 구별하여 살도록 하기 위해 하나님께서 친히 세우신 법.. 2023.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