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학(기독교)15 보혜사 (paracletos) '보혜사'는 다른 사람을 위해 인도·교육·변호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변호자, 중재자, 협조자의 뜻으로 헬라어 paracletos에게서 유래했는데, 보호하고 지켜주는 것을 의미한다. 신약성서 ‘요한복음’과 '요한서신'의 등장한 표현인데, ‘요한복음’은 예수 그리스도가 성령에 대해 사용했다. ‘요한복음’ 14장 16절에 “내가 아버지께 구하겠으니 그가 또 다른 보혜사를 너희에게 주사 영원토록 너희와 함께 있게 하시리니”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음의 요한복음 15:25~31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요한복음 15:25~31 25 내가 아직 너희와 함께 있어서 이 말을 너희에게 하였거니와 26 보혜사 곧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 그가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고 내가 너희에게 말한 모든 것을 생각나.. 2023. 2. 2. 성령(Spirit) 창조주 하나님의 영. 거룩한 영. 앞서 기록한 삼위일체 하나님에게 있어 아버지 하나님, 아들 그리스도와 구별되는 제3 위 격(신적 존재를 구별 짓는 것, 곧 신적 존재를 통합하고 있는 본질적인 것=신격). 구약에서는 ‘거룩하신 영’, ‘성신’, ‘하나님의 신’ 등으로 나타난다. 성부, 성자와 함께 창조 사역을 하셨으며, 신약에서는 성도의 구원을 이루고 완성하실 보혜사( 변호자, 중재자, 협조자의 뜻)로 성도 가운데 함께 계신다. 그의 성령을 우리에게 주시므로 우리가 그 안에 거하고 그가 우리 안에 거하시는 줄을 아느니라(요일 4:13). 그리스도를 영접하고 하나님의 자녀가 된 자에게 임하여 성도를 지키고 보호하시고 구원을 완성시킨다 너희가 악할지라도 좋은 것을 자식에게 줄 줄 알거든 하물며 너희 하늘 아.. 2023. 1. 30. 하나님의 임재(presence) 그리스도교에서 하느님이 인간에게 나타나는 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왕이나 황제가 그의 지방 중 한 곳을 방문할 때 사용한 공식적인 용어이기도 하다. 구약성서에는 성막의 영광스러운 구름과 그 외에도 여호와의 사자, 진설병, 언약궤 등을 언급한다. 이 모든 것은 하느님의 임재를 상징한다. 신약성경에는 하느님이 살아계신 임재로써 예수 그리스도에 중심을 둔다. 종말론적인 의미의 임재는 그의 속함을 받은 백성과 함께 훗날 그의 임재하심과 더불어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당도하는 순간을 의미한다. 창세기 28:10~22 10 야곱이 브엘세바에서 떠나 하란으로 향하여 가더니 11 한 곳에 이르러는 해가 진지라 거기서 유숙하려고 그 곳의 한 돌을 가져다가 베개로 삼고 거기 누워 자더니 12 꿈에 본즉 사닥다리가 땅 위에 .. 2023. 1. 28. 실천 신학 그리스도의 구원을 실현하기 위한 교회 고유의 실천을 대상으로 한다. 교회의 예배행위를 취급하는 예배학, 설교를 논하는 설교학, 교회나 학교에서의 신앙교육을 대상으로 하는 교회 교육학, 개인의 신앙을 위해서 배려하는 사목학의 4학과가 주요 학과이다. 이들 이외에도 교회의 행정, 법규, 교회 건축이나 미술, 사회복지 등이 실천신학의 주제가 되기도 한다. 또한 현재에는 실천신학의 개념ㆍ역사ㆍ방법을 논하는 서설, 실천 주체로서의 교회나 그 사명인 선교ㆍ전도를 논하는 원리론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현실에 따른 고찰을 하기 위해서 사회학, 심리학 등의 방법을 원용하는 경우도 많다. 신학교 교육에서 장래의 목사(사제)직에 대비해서 기술적 훈련을 행하고, 실제적인 권고를 하는 것 또한 실천신학의 주요한 임무이다. 실.. 2023. 1. 28. 이전 1 2 3 4 다음